• /
  • 수석비서관 폐지, 민정수석실 폐지, 제2부속실 폐지, 인원 30% 감축 등 청와대 슬림화

수석비서관 폐지, 민정수석실 폐지,
제2부속실 폐지, 인원 30% 감축 등

평 가

평가일 : 2022-09-14  /  2022-10-10

평가내용

윤 당선인은 대선 후보시절 발표한 공약집에 수석비서관, 민정수석실, 제2부속실 폐지 및 인원 30% 감축을 공약했다. ‘슬림한 대통령실’을 만들어 구중궁궐같은 구조에서 벗어겠다는 취지다.
윤 당선인은 ‘수석비서관 폐지’ 등 공약을 지난 1월27일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발표했다. 이는 2월1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10대 공약에도 담겼다. 윤 당선인은 대선 기간 내내 “대통령실을 정예화한 참모들과 분야별 민관합동위원회가 결합한 형태로 운영하겠다”며 “현행 청와대 수석비서관 제도와 대통령 부인을 보좌하는 제2부속실을 폐지해 청와대 직원 30%를 줄이겠다”고 공언했다.

5월 1일 발표된 ‘2실 5수석’ 체제의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은 과거 정부에 비해 규모가 일부 축소되고, 민정수석과 인사수석, 일자리수석을 없애 직제를 간소화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조직을 슬림화해 대통령실이 행정부에 군림하지 않고 ‘업무 조율’ 기능에 보다 초점을 맞추도록 하려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는 게 윤 당선인측 설명이다. 다만, 윤 당선인이 대선 기간 공약했던 ‘수석비서관 폐지’는 일단 없던 일이 되면서 ‘공약 후퇴’라는 지적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수석비서관제 전면 폐지’를 주장한 윤 당선인의 공약은 다소 후퇴했다. 윤 당선인은 차관급인 수석들이 각 부처에 군림하는 구조를 개혁하기 위해 수석비서관을 폐지해야 한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현실론에 부딪혀 각 수석실이 담당해 온 기능과 역할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슬림화에 나서면서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윤 당선인에게 제안한 과학교육수석도 신설하지 않기로 했다.

[2022.10.10. 업데이트]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대통령실과 부처 간 정책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기획수석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실장(비서실장·국가안보실장) 5수석’ 체제인 대통령실은 ‘2실장 6수석’ 체제로 개편된다. 당초 ‘대통령실 슬림화’ 공약에 따라 문재인 정부 청와대 조직을 대폭 줄였지만, 집권 초 정책 난맥상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자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대기 비서실장은 이에 앞서 현재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에 근무하는 인원이 약 500명이라고 공개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수석비서관, 민정수석실, 제2부속실 인원을 30% 감축한다고 공약했는데, 어느 정도 감축했느냐’는 질의에 함께 출석한 윤재순 총무비서관은 “정무수석실은 기존 정부에서 정무직이 15명이었는데 현재 10명으로, 한 10%는 감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비서관은 ‘30% 감축할 의지가 있냐’는 물음엔 “실질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만”이라고 답했고, ‘언제까지 노력할 것이냐’는 물음엔 “노력은 계속적으로 집권 내내 해야 할 사항”이라고 답했다.

뉴스톱은 수석비서관, 민정수석실, 2부속실 폐지 및 인원 30% 감축공약 이행 1차 평가에서 파기로 판정했습니다. 윤 당선인이 대선 기간 공약했던 수석비서관 폐지가 불발되고, ‘대통령실 인원 30% 감축도 흐지부지된 것에 근거와 비중을 두고 판단했습니다.

그런데 이 판정에 대해, ‘변경혹은 진행 중으로 판단할 수 있지 않느냐는 문의가 접수됐습니다. 뉴스톱은 내부 협의를 거쳐 다음과 같이 내용을 업데이트했습니다.

부분적으로 이행된 사안이 있고, 2022823일 열린 국회운영위원회에서 윤재순 총무비서관이 “30% 감축할 의지가 있냐, 언제까지 노력할 것이냐는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실질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만”, “노력은 계속적으로 집권 내내 해야 할 사항이라고 답한 것을 감안해 진행중으로 판단을 변경합니다.